관형사 4

어떤 단어의 품사를 모르겠을 때

1. 감탄사입니까? 2. 띄어쓰기 없이 쓰인 곳의 뒷부분입니까? - 맞다면 >> 조사입니다. (띄어쓰기 없는 앞부분은 체언일 것. 이를 충족하는 '수를 나타내는 말'은 수사=수관형사 아님.) 2.. 활용하고 있습니까? - 활용한다면 동사 또는 형용사 >> 3.으로 - 활용 안한다면 체언 또는 수식언 >> 4.으로 3. 동사/형용사 구별 - 감탄형 어미 -는구나 가능 : 동사 - 목적/의도를 나타내는 어미 '-러/려' 가능 : 동사 -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'-는'만 가능 : 동사 - 현재시제 관형사형 어미 '-ㄴ / -은'만 가능 : 형용사 -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'-는- / -ㄴ-' 가능 : 동사 4. 체언입니까? =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까? - 맞다면 >> 명사 수사 대명사입니다. - 아니라면 수식..

대학생활&공부 2020.08.20

'새, 헌'은 무조건 접두사? : 접두사와 관형사/부사의 구별

1. 접두사 vs 관형사 공통점 : 후행하는 명사의 뜻 한정 (접사는 명사, 형용사, 동사, 부사 등에 붙고 접두사는 100%는 아니지만 주로 명사, 동사에 붙음 - '헛살다') (관형사는 그 자체가 뒤에 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임) 차이점 1 : 접두사는 분포가 좁고, 관형사는 분포 넓음 (=접두사는 새 단어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가 관형사보다 적음) 접두사 '맨-' : 맨손, 맨주먹, 맨발, 맨몸 / 맨책, 맨수건, 맨차, 맨세탁기 신체 나타내는 단어에만 파생 가능 (제약조건 있음) 관형사 '새' : 새 신발, 새 수건, 새 차, 새 공연, 새 세탁기, 새 책 ... 등 갖다붙이면 만들어질 수 있는 경우가 더 많음 차이점 2 : 접두사는 분리성 없고, 관형사는 분리성 있음 (=접두사는 접두사와 ..

대학생활&공부 2020.07.24

관형사가 딴 품사처럼 보이는 경우 2가지

수사 / 수 관형사 둘 더하기 셋 >> 수사 (체언) 컵 여덟 개 >> 수 관형사 관형사 / 안긴문장의 형용사 나는 모르니 다른(=딴) 사람에게 가. >> 관형사 ('딴'이라는 준말 가능) 너와 생각이 다른 사람도 있다. >> 안긴문장의 형용사 ('딴'이라는 준말 불가능, 안긴문장은 '너와 생각이 다르다', 안은문장은 '사람도 있다.') 참고문헌 : 현대국어형태론(황화상, 지식과교양)

대학생활&공부 2020.07.23